열기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기관 : 울주도서관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
BOOK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ㆍ저자사항 심재룡 외 편역 
  • ㆍ발행사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ㆍ형태사항 322p.; 27cm  
  • ㆍ총서사항 서울대학교 한국학 자료총서; 3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2  
  • ㆍISBN 8952105893 
  • ㆍ주제어/키워드 고려시대 불교사상 불교 

소장정보

예약, 청구기호, 등록번호, 낱권, 자료실, 매체구분, 대출상태, 반납예정일에 따른 소장정보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청구기호 등록번호 낱권 자료실 매체구분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220.10911-2 AM0000099531 보존실 인쇄자료(책자형) 대출가능
(비치)
-

예약 이용안내

QRCODE

- 대출상태가 '관외대출중'인 책만 예약가능하며 2명까지 예약가능합니다.

- 도서대출 예약 및 대출 시 도서의 "소장기관"을 확인 하시고 도서대출을 받을 경우 소장기관에서만 도서를 대출 할 수 있습니다.
예) 늘푸름작은도서관 도서회원이 울주옹기종기도서관 도서를 대출받을 경우 울주옹기종기도서관에 방문하여 도서를 대출 받으셔야 합니다.

상호대차 이용안내

- 이용하는 도서관에 자료가 없을 시 울주선바위도서관, 울주옹기종기도서관, 울주도서관(교육청소속), 공립 작은도서관의 자료를 대출하여 집에서 가까운 도서관에서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예) 웅촌작은도서관 도서회원이 울주옹기종기도서관 도서를 대출받을 경우 웅촌작은도서관에서 상호대차신청 후 도서를 대출받으실 수 있습니다.

- 대출상태가 “대출가능(비치)”인 경우 대출이 가능합니다.

초록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심재룡 외 엮음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I.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1. 개요
2. 고려불교의 사회적 성격과 불교 제도
3. 종파의 성립과 발전
4. 고려 후기 불교계의 동향

II. 화엄과 천태사상의 집대성

1. 균여(均如)
【자료 1】 ?화엄일승법계도?의 저자에 대해 논함
【자료 2】 하나[一]와 여럿[多]의 연기성을 논함
【자료 3】 중문(中門)과 즉문(卽門)의 차이를 논함
【자료 4】 ?화엄경?을 ‘이름 붙인 가르침’이라 하는 이유를 논함
【자료 5】 인과(因果)는 한 찰나에 이루어진다
【자료 6】 화엄의 동시인과설과 수행에 따른 인과설은 모순되지 않는다
【자료 7】 인과동시설은 원만한 것과 전체적인 것을 모두 갖추고 있다
【자료 8】 화엄의 본말원융무애설은 가르침에 따라 거두어들인 문에 해당
【자료 9】 방편을 거두어들이는 것은 근기에 따라 나눈 문에 해당
【자료 10】 네 가지 낮은 가르침은 방편이지만 동일한 법계를 이룬다
【자료 11】 선지식의 법문은 부처의 마음과 같다
【자료 12】 부처의 몸으로 내 몸을 삼으면 그 몸은 언제나 원인이며 결과이다
【자료 13】 삼세인과설은 방편설이다
【자료 14】 법상종과 삼론종은 모두 대승종교에 해당한다

2. 제관(諦觀)
【자료 1】 ?천태사교의?를 지은 목적
【자료 2】 돈교(頓敎), 직설적으로 진리 자체를 설명
【자료 3】 점교(漸敎), 진리를 근기에 따라 점차적으로 설명
【자료 4】 중생에 따라 서로 다른 이익을 얻도록 한 비밀교
【자료 5】 하나의 가르침에서 서로 다른 이익을 얻도록 한 부정교
【자료 6】 부처의 일대사인연을 드러낸 최종의 가르침
【자료 7】 장교(藏敎)
【자료 8】 통교(通敎)
【자료 9】 별교(別敎)
【자료 10】 원교(圓敎)
【자료 11】 25방편행, 지관(止觀) 실천을 준비하는 스물다섯 가지 수행법
【자료 12】 십승관법(十乘觀法), 모든 존재의 실상을 통찰하기 위한 열 가지 관법
【자료 13】 천태사교의를 마치며

3. 의천(義天)
【자료 1】 화엄경의 가르침을 밝히는 논서들을 편집하면서
【자료 2】 유식 공부의 필요성을 역설
【자료 3】 ?우란분경? 강의를 시작하며
【자료 4】 ?원각경? 강의를 시작하며
【자료 5】 ?화엄경? ?십통품?(十通品) 강의를 시작하며
【자료 6】 진사 백중언에게 법의 제강을 설함
【자료 7】 내시문관에게 보내는 편지
【자료 8】 천태지자의 탑을 직접 참례하여 발원한 글
【자료 9】 분황사 원효성사를 제사지내는 글
【자료 10】 새로 참여한 학도에게(1)
【자료 11】 새로 참여한 학도에게(2)
【자료 12】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의 서문

III. 정혜결사와 수선사의 선사상

1. 지눌(知訥)
【자료 1】 ?권수정혜결사문? 도입부
【자료 2】 ?계초심학인문? 중에서
【자료 3】 부동지(不動智)
【자료 4】 해오(解悟)
【자료 5】 번뇌망상의 본질에 대하여
【자료 6】 깨침의 본질과 돈오의 의미
【자료 7】 깨친 자의 수행은 어떠해야 하는가
【자료 8】 4종의 중국선에 대한 지눌의 평가
【자료 9】 중국선을 동화함
【자료 10】 종밀의 마음[心] 개념을 해석
【자료 11】 종밀의 지(知) 중심의 교의의 정당성 주장
【자료 12】 깨닫지 못한 자들
【자료 13】 임제선의 수용
【자료 14】 이원론의 극복
【자료 15】 선교일치의 배경과 방법
【자료 16】 ‘무명과 지혜의 동일성’에 대한 지눌의 주장
【자료 17】 연기 대비 성기의 우월성 역설
【자료 18】 화엄교설을 선으로 포섭
【자료 19】 선과 교학의 상호견제와 보충
【자료 20】 깨달음의 기초
【자료 21】 회광반조의 중요성
【자료 22】 진심(眞心)의 불이성(不二性)
【자료 23】 ?육조법보단경발?
【자료 24】 간화선과 보조선

2. 혜심(慧諶)
【자료 1】 꿈의 비유
【자료 2】 삶과 죽음은 하나이다
【자료 3】 주인공에 관하여
【자료 4】 무심(無心)과 무사(無事)
【자료 5】 물과 마음
【자료 6】 지관(止觀)과 정혜(定慧)
【자료 7】 화두를 참구하는 법

IV. 백련결사와 천태사상

1. 요세(了世)
【자료 1】 실천수행을 중시했던 요세
【자료 2】 지눌의 정혜결사에 참여
【자료 3】 참회 정진에 힘씀
【자료 4】 법화참회를 실천
【자료 5】 정토수행을 더불어 실천
【자료 6】 요세의 입적

2. 천인(天因)
【자료 1】 ?정명국사후집?을 지은 이유
【자료 2】 아미타불 찬탄
【자료 3】 ?묘법연화경?에 대한 전체적인 찬탄

3. 천책(天?)
【자료 1】 출가할 결심을 읊은 칠언절구
【자료 2】 ?아미타경? 독송을 권하여 발원하는 글
【자료 3】 유교와 불교의 관계 및 불교의 사회적 의미
【자료 4】 세속과 불교의 연관관계
【자료 5】 언어로 드러난 가르침에 대하여
【자료 6】 ?선문보장록?의 저술 동기
【자료 7】 선종과 원돈의 차이에 대하여
【자료 8】 독송하는 강사를 조복시킴
【자료 9】 군신들이 존중하고 신앙하는 문

4. 보환(普幻)
【자료 1】 ?능엄경?의 종지를 밝힘
【자료 2】 마음자리에 대하여
【자료 3】 각원(覺元)의 의미에 대하여
【자료 4】 진상(眞常)에 대하여
【자료 5】 마음의 본원에 대하여
【자료 6】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에 대하여
【자료 7】 성각(性覺)과 사추(四?)의 관계에 대하여
【자료 8】 전상(轉相)과 현상(現相)의 관계에 대하여
【자료 9】 허공과 공성의 관계에 대하여

V. 고려불교계의 역사의식

1. 일연(一然)
【자료 1】 ?중편조동오위?의 서문
【자료 2】 동산오위현결의 보충설명
【자료 3】 ‘정위’라는 개념의 연원
【자료 4】 ?삼국유사?의 ?기이제일?(紀異第一)
【자료 5】 고조선의 건국

2. 각훈(覺訓)
【자료 1】 신라의 불교 도입
【자료 2】 법흥왕의 출가와 그 이후
【자료 3】 법흥왕과 염촉에 대한 찬(贊)
【자료 4】 원광(圓光)의 사적에 대한 찬(贊)

VI. 임제선과 여말 선사들의 선사상

1. 보우(普愚)
【자료 1】 ?태고암가?와 발문(跋文)
【자료 2】 보우의 임제선 제일주의
【자료 3】 공민왕과 보우의 관계
【자료 4】 보우의 원나라 유학과 중국 임제종의 계승 과정
【자료 5】 보우의 선맥 계승에 대한 자부심
【자료 6】 공적영지의 수용
【자료 7】 정토신앙의 선불교적 수용

2. 혜근(慧勤)
【자료 1】 나옹의 중국 임제선 계승
【자료 2】 ?공부십절목?
【자료 3】 화두 참구의 중요성
【자료 4】 공적영지의 수용
【자료 5】 지공의 무심선을 계승
【자료 6】 나옹의 죽음
【자료 7】 ?완주가?(翫珠歌)와 ?고루가?(枯?歌)

3. 경한(景閑)
【자료 1】 조사선이란 무엇인가
【자료 2】 ?선교통론?(禪敎通論)
【자료 3】 석옥의 사세송(辭世頌)과 경한의 정통 의식
【자료 4】 무심(無心) 법문
【자료 5】 ?불조직지심체요절?의 전등사(傳燈史)

4. 야운(野雲)
【자료 1】 경각심을 일깨움
【자료 2】 경책의 구체적인 내용 열 가지
【자료 3】 수행의 다급함과 불가피성

VII. 고려대장경의 조판

【자료 1】 초조고려대장경 조판
【자료 2】 국본의 소실과 고려대장경의 완성
【자료 3】 고려대장경의 구조와 조성 연대
【자료 4】 고려대장경의 성격
【자료 5】 조판 동기
【자료 6】 조판 사업의 주체
【자료 7】 조판 장소: 분사대장도감의 존재
【자료 8】 조판 경위: 교정 내용을 중심으로

찾아보기
발간사



도서정보 제공 : 인터넷서점 알라딘

울주통합도서관

울주선바위도서관 : (44924)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점촌3길 40     대표전화 : 052-211-5773     팩스 : 052-204-1219
울주옹기종기도서관 : (44973)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온양로 38-1     대표전화 : 052-239-7413     팩스 : 052-204-1239
울주천상도서관 : (44930)울산 울주군 범서읍 천상길60     대표전화 : 052-243-9096     팩스 : 052-243-9097

Copyright © Ulju County Library All Rights Reserved.

닫기